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양파 검은무늬병과 푸른 곰팡이병 원인과 증상, 방제 방법 등

by ap09:00 2022. 9. 24.
반응형

오늘은 양파 검은 무늬병과 푸른곰팡이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검은 무늬병의 경우에는 식물체 잔재에서 겨울을 지내고 1차 저염이 되고 5월부터 11월까지 널리 분보 되며, 푸른곰팡이병은 재포장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저장 중에 발생한다. 그래서 이 두 가지 병해에 대한 원인과 증상, 방제 방법을 알아보자

양파 검은무늬병 원인 증상 및 방제 방법


양파 검은무늬병 원인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균사나 분생 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1차전 염원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널리 분포되어 있는 병으로 5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나, 특히 7~8월경 비가 자주 올 때 심하게 발생한다. 비료분이 부족하여 후기 생육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양파 줄기 검은무늬

양파 검은무늬병 증상 설명

잎과 꽃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타원형의 담갈색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약간 움푹 들어간 암자색 병반이 된다. 상하로 길게 타원형 병반이 형성되며, 병반 중앙에는 겹무늬가 나타나고, 검은 분생 포자가 밀생 한다.

양파 검은 무늬병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 중에 비료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균형시비를 한다.

양파 푸른곰팡이병 원인 증상 및 방제 방법


양파 푸른 곰팡이병 원인

재배포장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주로 저장 중의 양파에 발생한다. 재배포장에서 묻어 들어온 병원균이 저장 중인 양파의 상처부위를 통하여 침입하여 발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온에 저장 시 피해가 매우 크며, 저온에 저장 시에도 간혹 발생한다.

양파 푸른 곰팡이

양파 푸른 곰팡이병 증상 설명

처음에는 저장 중에 뿌리 부분이나 구의 상처부위에 하얀 균사가 나타나고, 진전되면 구 전체로 퍼지는데, 분생 포자가 형성되면서 푸른색으로 변한다. 심하면 구 전체가 물러 썩는다.

양파 푸른곰팡이병 방제방법

- 수확 시 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 저장고 내에 환경을 청결히 한다.
- 가급적 저온에 저장을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