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양배추 도둑 나방 병충해와 양배추 가루 진딧물 병충해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먼저 번데기로 월동하고 4월과 7월, 8월과 9월에 발생하는 도둑나방과 봄에 자주 발생하며 밀가루를 뒤집어쓴것처럼 하얗게 보이는 가루진딧물 병충해에 대한 원인 및 방제방법등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배추 도둑 나방 병충해 피해 원인 및 방제 방법
양배추 도둑나방 원인
도둑 나방은 번데기로 월동하고, 년 2회 발생하는데, 1회 성충은 4~7월에 2회 성충은 8~9월에 발생 난다. 유충 기간은 40~45일, 성충은 해질 무렵부터 활동을 시작하며 낮에는 마른 잎 사이에 숨는다. 알은 잎 뒷면에 알 무더기로 낳고, 부화한 유충은 3령까지 무리 지어 가해하다가 4령 이후 분산하여 생활하고, 땅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여름철 기온이 높으면 번데기 상태로 여름잠을 자는 개체가 많으므로 여름에는 피해가 많지 않다.
양배추 도둑나방 피해정보
유충이 피해를 주는데, 잡식성이어서 일본에서는 107종의 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채소, 화훼 등 원예작물에 발생이 많으며 어린 유충은 무리 지어 엽맥만 남기면서 잎을 섭식하고, 성장하면서 줄기와 열매까지 폭식한다. 봄, 가을에 피해가 심하고, 결구배추의 속으로 파고 들어가며 피해를 주기도 한다.
양배추 도둑나방 방제방법
도둑 나방은 야행성이라 해질 무렵부터 움직여 잎과 열매를 갉아먹기 때문에 낮에는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노숙 유충의 경우 크기가 크고 모양이 혐오스럽기 때문에 주말농장 같은 소규모 재배지에서는 작물의 피해부위와 주변 토양을 잘 살펴 나무젓가락 등을 이용하여 잡아서 죽이면 밀도가 감소한다. 대규모 재배지에서의 농약 사용은 담배거세미나방 방제법과 같으며, 4령 이상의 유충은 농약에 견디는 힘이 강하므로 배추, 양배추의 포기 속으로 파고 들어가기 전 발생 초기 어린 유충기에 방제해야 한다.
양배추 가루진딧물 병충해 원인 및 방제 방법
양배추 가루진딧물 형태 정보
양배추 가루 진딧물 무시충은 몸길이가 2.6㎜이고 연녹색~짙은 녹색으로서 엷은 흰 가루를 뒤집어쓰고 있다. 뿔관은 황갈색이나 끝이 검거나 거무스름한 원기둥 모양으로 뒤쪽이 약간 볼록하고 끝에 테두리가 발달하여 나팔모양이다. 유시충의 몸길이는 2.2㎜로서 몸색깔은 흑색 또는 흑녹색이며 엷은 흰가루로 덮여 있고, 광택은 없다. 옆무늬의 등 쪽에 조그만 검은 무늬가 줄지어 있다. 뿔관은 거무스름하거나 거의 검고 끝쪽이 약간 볼록한 원기둥 모양으로 비닐 무늬가 있으며, 끝에 테두리와 테두리 띠가 있다.
양배추 가루 진딧물 원인
케일, 양배추 등 십자화과 식물에 발생하는 해충으로 집단 서식하여 피해를 준다. 십자화과 작물의 잎에서 연중 생활하는데 봄에 발생이 많으며, 피해를 받은 식물은 밀가루를 뒤집어쓴 것 같이 하얗게 보인다. 양배추 가루 진딧물의 약충 기간은 7∼12일, 성충 기간은 약 30일, 산란수는 약 40마리이다. 가뭄이 지속될 때 발생이 많으므로 이 때는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알은 7~8℃이면 부화하며, 최적 온도 25~26℃, 최적습도 60~70%이다. 예찰은 배추나 양배추의 잎 뒷면을 잘 살피면 집단으로 서식하는 흰 가루가 덮여 있는 진딧물을 발견할 수 있다.
양배추 가루 진딧물 일반정보 피해정보
주로 케일, 양배추 등에 집단으로 발생하며, 잎 뒷면, 꽃대, 어린싹 등을 흡즙 하여 식물체의 양분이 소실된다. 또 감로를 배설하여 그을음병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그을음병이 발생되면 잎이 검어지고 광합성이 저하되어 식물체가 연약해진다. 흡즙으로 인한 각종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한다.
양배추 가루 진딧물 일반정보 방제방법
시설 내에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진딧물 침입을 차단한다. 천적으로는 콜레마니 진디벌, 진디 혹파리, 무당벌레 등이 있으며, 노지작물에서는 천적보호가 중요하므로 천적에 안전한 농약을 사용한다.
1. 생물학적 방제방법
기농 방제법으로 진딧물도 잎 응애와 같이 난황유 이용이 가능하며 제조 및 이용법은 점박이응애 방제를 참고한다.
2. 화학적 방제방법
물비누, 연성 비누를 1~2 티스푼을 미지근한 물 1ℓ에 잘 섞어서 살포하면 진딧물과 잎 응애 밀도를 감소시킨다.
댓글